기획
-
응급처치④ 冷에 의한 손상 응급처치
저체온증 및 동상일 땐 이렇게 하세요∼
2019.01.03
저체온증이란?중심 체온이 32~35℃인 경우를 경증 저체온증이라고 한다. 이 시기의 초기에는 반응활동성 시기라고 하여 심장 박동수 및 혈압이 증가하게 되며 점차 체온이 떨어지면서 박동수와 혈압이 떨어지게 된다. ...
-
단계에 따라 구분되어 지는 열화상
2018.12.21
피부의 표면은 바깥쪽 표피와 아래의 진피로 구성되고 진피 하부에는 피하 조직이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각각의 피부 층이 열 접촉이나 노출에 의해 얼마나 손상을 받았는지에 따라 열화상의 단계가 결정되며 크게 3...
-
응급처치② 이물질 제거
눈·코·귀에 이물질이 들어갔을 땐 당황하지 말고 이렇게 해봐요~!
2018.12.11
눈- 손으로 비비면 안 돼요!바람에 의한 티끌 등 알갱이로 된 이물이 눈에 들어갔을 경우 흐르는 물로 이물질이 들어간 눈을 아래로 해서 물을 코 쪽 방향부터 흘러내리게 하고 눈을 깜빡여 씻어 낸다.눈을 손으로 비...
-
응급처치① 심폐소생술(下)
알아두면 좋은 기본 심폐소생술 시행 순서
2018.12.04
1. 반응의 확인환자에게 접근하기 전에 구조자는 현장상황이 안전한지를 우선 확인하여, 안전하다고 판단되면 환자에게 다가가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 “괜찮으세요?”라고 물어본다. 이때 환자의 반응은 있으나 진료...
-
응급처치① 심폐소생술(中)
위급한 심정지 상황에서 필요한 자동제세동기
2018.11.30
자동제세동기의 사용심정지는 전기충격(제세동)이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뉘게 된다. 하나는 심실세동 등의 충격 가능 리듬이고, 다른 하나는 충격 불가능 리듬이다. 이 두 가지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
응급처치① 심폐소생술(上)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심폐소생술
2018.11.23
심정지의 발생은 예측이 어렵고, 예측되지 않은 심정지의 60∼80%는 가정, 직장, 길거리 등 의료시설 이외의 장소에서 발생한다. 심정지가 발생된 후 4∼5분이 경과되면 뇌가 비가역적 손상을 받기 때문에 심정지를 목...
-
안면마비는 뇌졸중과 증상에 차이가 있다
2018.11.16
안면마비갑자기 안면 마비가 오면 많은 사람들이 혹시 뇌졸중이 아닌가 하고 걱정하는 경우가 많다.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생기는 뇌졸중과는 달리 안면 마비는 일명 ‘벨씨 마비’라고 하는데 안면 근육을 지배하...
-
노로바이러스
겨울에도 식중독이?
2018.11.09
노로바이러스는 식중독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바이러스로, 사계절 모두 문제가 되지만 특히 겨울철에 유행 발생이 가장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흔히 ‘식중독’은 여름에만 주의하면 된다고 생각하기 쉬워, 겨울철에...